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58)
017 - 사용자 입력을 통한 GET 요청 반복횟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으려면 입력폼을 준비해야 한다. UTF-8 을 기본 설정으로 하는 방법 Window -> Preference -> Web -> CSS/HTML/JSP Files 에서 설정 "안녕하세요"를 몇 번 듣고 싶으세요?
200514 - 게시판만들기 추가로 구현해야 할 것 - 페이징 - 댓글 - 추천 구현해야 하는 것 (심화) 프로그램이 시작하자 마자, 게시판 2개가 이미 존재해야(free, notice) 합니다. 초기에는 자유게시판이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각각의 게시판에는 이미 글 1개씩 존재합니다.(게시판 이용수칙) 게시판의 리스팅 시 한 페이지에 글이 10개 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10개 보다 많으면 페이징 처리 리스팅 시, 최신 게시물일 수록 먼저 나와야 합니다. 회원가입을 해야, 게시물 작성, 댓글 작성을 할 수 있습니다.
016 - 기본값 사용하기 http://.../hello?cnt=20 ㄴ>밑줄 친 전체가 요청. 그 요청에서 추가적으로 값이 전달되면 쿼리스트링(볼드체) http://.../hello?cnt=20 => "3" http://.../hello?cnt= => "" http://.../hello => null http://.../hello => null 공백("")이 들어갈 경우와 null이 들어갈 경우를 생각하여 if문 작성 String cnt_ = request.getParameter("cnt"); int cnt = 100; if(cnt_ != null && !cnt_.equals("")) cnt = Integer.parseInt(cnt_); for(int i=0; i
윈도우 응용 프로그래머와 웹 프로그래머의 직무 차이 윈도우 응용 프로그래머 컴퓨터 내의 응용, 연산 그리고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윈도, 워드, 한글 등의 응용프로그램) 제작과 관리를 하는 사람.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 베이스 언어를 사용해서 작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람. 대표적으로 유통회사에서 사용하는 공급관리시스템(SCM), 기업 운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전사적 자원관리(ERP), 고객관계 관리(CRM), 항공권 발급 및 열차표 발행 예매 프로그램 등 실행이 가능한 모든 프로그램을 다룬다. 사용하는 언어 : C, C++, C#, Java 등 웹 프로그래머 인터넷 상 웹페이지부터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담당. 웹 상에서 각종 자료들을 보여줄 수 있도록 웹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작성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DB, database)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하여 통합, 곤리하는 데이터의 집합. 몇 개의 자료 파일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여 자료 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기억시켜 놓은 자료의 집합체 특징 1. 실시간 접근성 2. 지속적인 변화 3. 동시 공유 4. 내용에 대한 참조 5. 데이터 논리적 독립성 장점 데이터 중복 최소화 데이터 공유 일관성, 무결성, 보안성 유지 최신의 데이터 유지 데이터의 표준화 가능 데이터의 논리적, 물리적 독립성 용이한 데이터 접근 데이터 저장 공간 절약 단점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필요 많은 비용 부담 데이터 백업과 복구가 어려움 시스템의 복잡함 대용량 디스크로 엑세스가 집중되면 과부하 발생
HTTP와 웹서버 그리고 브라우저의 관계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 TCP와 UDP를 사용하며,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 쓰임. (HTTP를 통해 전달되는 자료는 http:로 시작하는 URL(인터넷 주소)로 조회 가능) 웹 서버 (web server)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브라우저 (browser) 웹 서버에서 이동하며 쌍방향으로 통신하고, HTML 문서나 파일을 출력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 대표적인 HTTP 사용자 에이전트의 하나. Ex. 파이어폭스, 크롬, IE, MS엣지, 사파리 등
서버 서버 (server)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program) 또는 장치(device)를 의미.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과의 연결, 데이터·프로그램·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팩스·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서버 운영 체제 : FreeBSD, 솔라리스, 리눅스 등
동적할당, 정적할당, 가비지컬렉터 동적 할당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행 시간 동안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것. 사용이 끝나면 운영체제가 쓸 수 있도록 반납하고 다음에 요구가 오면 재할당을 받을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순간, 프로그램이 사용할 메모리 크기를 고려하여 메모리의 할당이 이루어지는 정적 메모리 할당과 대조적. 장점 상황에 따라 원하는 크기만큼의 메모리가 할당되므로, 경제적이며, 이미 할당된 메모리라도 언제든지 크기 조절 가능 단점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 명시적으로 메모리를 해제해야 함. 정적 할당 메모리 할당 방법 중 하나. 메모리의 크기가 하드 코딩되어 있기에 프로그램이 실행 될 때, 이미 해당 메모리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특징. 장점 메모리 누수와 같은 문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됨. 정적 할당된 메모리는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