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에서 해당 컴퓨터의 주소.
-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
-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
- 특징
1. 비신뢰성 :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에 보낸 정보가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않음.
2. 비연결성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규약주소)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
포트
- 모뎀과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
Ping
- IP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한 호스트가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데 쓰이는 컴퓨터 네트워크 도구 중 하나.
- ICMP echo request 라는 메시지를 원격 호스트로 보내 응답하는지 기다림.
- ICMP echo reply가 돌아오는 지 여부에 따라 원격 호스트가 동작 중인지 아닌 지 검사 가능.
- 포트 지정 없이 인터넷 연결만 체크.
- DDOS 공격에 이용되기도 해서 ping을 막기도 함.
- ex. cmd > ping www.youtube.com
TELNET
-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 프로토콜 :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
-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일부 기능이 추가된 소프트웨어
- 원격 터미널 접속 서비스
- 기본적으로 23번 포트 사용.
- 특정 서버에서 서비스가 살아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평문으로 전달.
(+ 평문 : 암호 알고리즘의 입력 대상. 암호화되지 않은 정보)
- 보안 취약.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로채는 네트워크 스니핑을 당할 경우 데이터가 고스란히 노출)
- cmd > telnet을 했을 때, 아래 사진과 같이 뜬다면 telnet 기능이 꺼져있는 것.
SSH (Secure SHell)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
- 기존(rsh, rlogin, telnet 등)의 서비스를 대체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기본적으로 22번 포트 사용.
-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이 노출되더라도 암호화된 문자로 보임.
프로토콜
- 복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